728x90
반응형
String -> 배열, 배열 -> String 만들기
-join-
cars라는 리스트가 있다
이 아이를 하나의 문자열로 만들고 싶을 때
join이라는 함수를 이용하면 된다
stringCars에 cars를 String으로 바꾼 값이 들어갔다
여기서 join의 인자 값으로는 기호 또는 정규식이 들어갈 수 있다
cars의 원소들이 '|'를 기준으로 합쳐진 것을 볼 수 있다
만약 join에 인자 값을 넣지 않는다면?
자동으로 ','를 구분자로 합쳐진다
-split-
그러면 이제 String을 배열로 합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바로 split함수를 이용하면 된다
문자열 stringCars를 split함수를 사용해 carList 배열 안에 담았다
웹 개발을 하게되면 배열->문자열, 문자열->배열로 변환해야할 상황이 자주 생긴다
이럴 때 join과 split을 이용하면 아주 편리할 듯
다음엔 이름이 비슷해서 헛갈리는 splice, slice에 대해서 써야겠다
728x90
반응형
'코딩탐방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톰캣탐방기] org.apache.catalina.LifecycleException: Failed to start component [StandardServer[8005]] 이클립스 서버, 톰캣설치 (0) | 2021.11.19 |
---|---|
[JS탐방기] 자바스크립트 slice, splice 사용법과 차이점 (0) | 2021.04.19 |
[코딩탐방기] PostgreSql “문자열->날짜형태”로 일간격 구하기 (0) | 2020.12.20 |
[코딩탐방기] @Deletemapping 에서 @Requestbody 사용하는 법 (0) | 2020.12.18 |
[코딩탐방기] org.apache.ibatis.binding.BindingException 에러 (0) | 2020.12.16 |